기사 메일전송
인턴기자 강민재의 역사 산책 - 독일의 과거사 청산에 대한 또 다른 시각 #2 - 서독정부의 출범과 과거사 청산의 위기
기사수정

그 후 19499, 1대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Konrad Adenauer)를 시작으로 서독 정부가 출범하자 연합군이 외부에서 강요한 부담스러운 과거에 대한 청산을 종결시켰다. 이들은 1950년대 전반에 걸쳐 민주주의 정착과 경제 회복이라는 당면 과제에 주력했고 과거사 문제는 독일인들의 자존심을 추락시키고 새로운 국가 건설에 필요한 국민통합을 어렵게 할 뿐이라는 명분을 내세웠다.


1대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 <사진 출처 : 위키피디아>

 또한 경제 회복에 필요한 인력들을 나치 전력자라는 이유로 언제까지 배제할 수도 없었다. 따라서 이 시기에 나치 범죄자들에 대한 사면과 복권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심지어는 재나치화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나치청산의 의미가 퇴색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정부차원에서 극우 나치즘의 제도적인 부활에 단호하게 대처했고, 다른 한편으로 나치 피해자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보상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극우 정당 금지는 이후 공산당의 불법화에 대한 정지작업이었으며, 피해자 보상은 나치의 사면과 복권을 위한 일종의 회유책이었다는 주장이 제기 되기도 한다.

 

 

<사진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1950년대 이후 독일의 경제성장을 대표하는 '폭스바겐의 딱정벌레차'

동독은 이시기에 과거청산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동독 정권에게 나치청산은 오로지 체제의 문제였지 개개인의 삶에 뿌리 내린 나치의 문제는 간과했다. 따라서 일반 대중들이 개인적으로 과거와 대면하고 반성할 기회가 전혀 없었다. 이는 독일 통일 후 극우집단이 준동하게 된 한 원인이 되었다.

 (계속)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koreafrontier.com/news/view.php?idx=1012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