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고양시, 장항습지 11년 만에 람사르습지로 공식 등록…생태적 가치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1 - 장항습지, 한강하구 습지 중 우선적으로 람사르습지 등록 - 경기도 내륙습지 중 최초로 람사르습지 등록
기사수정

고양시의 장항습지가 람사르습지로 공식 등록됐다.

고양시(시장 이재준)21일 열리는 ‘2021 생물다양성의 날 및 습지의 날 기념식에서 람사르습지 인증서를 받는다고 20일 밝혔다.

장항습지는 신평동·장항동·법곳동 등 한강하구를 따라 7.6km로 이어진 도심 속 습지다. 바닷물과 강물이 만나는 기수역(汽水域)이자, 대륙간 이동 물새의 중간기착지로 매년 3만여 마리의 새들이 도래한다.



또한 재두루미·저어새 등 천연기념물과 큰기러기·붉은발말똥게 등 멸종위기동물을 포함해, 1,066여종 이상의 생명체가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이기도 하다.

2006년에는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고, 2019년 철새보호 국제기구인 EAAFP(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에 등재된데 이어, 21일 람사르습지로 공식 등록되었다.



람사르 협약(Ramsar Convention)’은 자연자원과 서식지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에 관한 최초의 국제협약으로 현재 171개 국가가 가입되어 있다.

자연 생태계로서의 습지를 인류와 환경을 위해 체계적으로 보전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인만큼, 고양시는 이번 람사르습지 등록을 통해 장항습지의 생태적 가치가 국제적으로 공고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도심 속 탄소저장고인 장항습지를 보전하고 국제적으로 널리 알리기 위한 11년간의 노력이 드디어 빛을 보았다라며, “환경파괴는 미래세대가 갚을 수 있는 빚이 아니며 지금 보존하지 않으면 되살릴 수 없다는 마음으로, 장항습지를 비롯한 환경 보존에 힘을 다하겠다고 했다.


11년간의 노력 끝에 빛을 보게 된 장항습지한강하구 습지 중 우선적으로 람사르습지 등록


2010년 고양시가 처음으로 환경부에 장항습지를 람사르습지로의 등록을 건의한 후, 장항습지의 람사르습지 등록은 오랜기간 동안 정체를 겪었다.

장항습지를 포함해 한강하구습지 전역을 람사르습지로 등록하려는 방안이 타지역 이해관계자들의 이견으로 빈번히 무산됐기 때문이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장항습지 람사르습지 등록 추진을 공약으로 걸고, 막혔던 사업의 물꼬를 트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2019년 고양시는 한강하구 전역을 람사르습지로 등록하는 방안이 아닌, ‘장항습지를 우선 람사르습지에 등록 후 한강하구 전역으로 확대등록하는 방안을 4차례에 걸쳐 환경부에 건의했다.


이에 환경부는 지난해 1,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한강하구 람사르습지 등록설명회를 열고, “한강하구 4개 지자체(고양·파주·김포·강화) 중 고양시 장항습지를 우선적으로 등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전체 등재라는 원론적 입장을 고수하던 환경부가 처음으로 고양시의 제안을 받아들인 것이다. 이어 환경부는 지난해 10월 람사르협약사무국에 장항습지를 우선적으로 등록 요청했고, 11년 만에 장항습지가 람사르습지로 등록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koreafrontier.com/news/view.php?idx=2629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