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조선시대 불교 인쇄문화, 옛 방식 그대로 되살린다 - 송광사, 화엄사, 대흥사의 3개 사찰에 있는 615판 선정해 각 3부씩 인출
기사수정


구례 화엄사 목판 인출 모습.<사진제공=문화재청>

문화재청과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조사된 목판 가운데 송광사, 화엄사, 대흥사의 3개 사찰에 있는 615판을 선정해 각 3부씩 인출하고, 결과물을 전통기법인 장황 방식으로 제작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문화재청과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인출작업을 위해 지난 1년여간 현지 조사를 통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닥나무와 황촉규를 사용해 전통기법으로 제작된 전통한지와 소나무를 태운 그을음으로 제작한 송연묵을 확보했다.

또 해인사 팔만대장경 등을 비롯한 다수의 국내 사찰 목판을 인출한 장인이 직접 인출을 담당해 결과물의 완성도를 높였다.

인출대상 목판은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시기성(임진왜란 이전) △명확성(개판 연도와 개판처의 소재) △완결성(결판이 없는 완전한 구성) △희귀성(유일본) 등을 기준으로 삼은 총 615판을 선정했다.

문화재청과 불교문화재연구소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전국 사찰 목판 일제조사'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지난해 인천·경기·충청·전라도 지역의 56개 사찰소장 목판 9,872점을 조사했다. 올해는 부산·울산광역시를 비롯해 경남(함양·합천군) 지역의 7개 사찰을 대상으로 5481점의 목판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사찰 소장 중요목판에 대한 인출작업은 사찰 소장 목판의 원형 자료를 확보하고 전통 인쇄문화를 복원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최종 결과물은 사찰소장 목판에 대한 학술적·문화재적 가치를 규명하고 조선 시대 불교 인쇄문화의 우수성과 불교 전통 기록문화유산으로서의 독창성을 지닌 전통문화 계승발전의 새로운 보고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출(印出): 목판 등에 새겨진 글씨나 그림을 찍어냄
☞장황(粧䌙): 서체, 서화 등을 탁본하여 표구한 것
☞황촉규(黃蜀葵): 식물성 점제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koreafrontier.com/news/view.php?idx=918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